'카바(Cava)'란 전통적인 방식(traditional method)을 통해
만들어진 스페인의 스파클링 와인을 지칭합니다.
'카바'의 뜻은?

'Cava'는 스페인어로 와인병을 저장하는 공간을 의미하는 'Cellar' 혹은 'Cave'에서 유래했다. 오래전부터 스파클링 와인을 지칭하는 말이었다가 1959년에 공식적으로 문서에 처음 사용되었습니다. 그 후 1972년에 스파클링 관리 의회에 'Cava'는 스파클링을 의미하는 것으로 승인을 받게 되었습니다.
카바 사용 포도품종
샴페인을 만드는 대표 품종은 '피노누아', '샤르도네', '피노 뫼니에(Pinot Meunier)'이다. 그럼 카바는 어떤 포도 품종으로 만들까요?
·마카베오(Macabeo) : 청포도 품종으로 시트러스류, 핵과일류의 향에 캐모마일 같은 꽃향기가 특징적이고 베이스로 많이 사용됩니다.
·자렐로(Xarel-lo) : 스펠링만 보면 이게 뭐지? 싶은 이름의 자렐로! 청포도 품종으로 좀 덜익은 시트러스류, 사과의 풍미를 가진다. 와인을 블렌딩할 때 주로 신 맛과 신선함을 주는 역할을 담당합니다.
·파렐야다(Parellada) : 역시 청포도 품종으로 잘 익은 사과, 시트러스, 노란 꽃, 너티(nutty)한 특징을 줍니다.
카바의 스타일과 라벨표기
그렇다면 카바는 한 종류만 있는 것은 아닐터, 다양한 카바의 스타일과 라벨 표기에 대해 알아보면,
카바는 숙성 기간에 따라서 4가지 종류/ 단계 인데요. 아래 설명을 읽어보고 본인 취향에 맞는 카바를 고르세요.

·Cava(카바) : 효모 숙성 기간(On the lees)이 최소 9개월로 프랑스의 크레망과 비슷하다. 가장 기본적인 엔트리급 카바이다.

·Reserva Cava(레제르바 카바): 효모 숙성 기간(On the lees)이 최소 15개월로 프랑스의 논빈티지 샴페인(Non-vintage Champagne)과 같은 요건이다.

·Gran Reserva Cava(그란 레제르바 카바): 효모 숙성 기간(On the lees)이 최소 30개월로 당도 기준은 Brut Nature, Extra Brut, Brut 세 종류만 출시 가능하다. 또한, 그란 레제르바의 경우 다른 카바와는 다르게 해당 빈티지를 기재하여야 한다. 역시 프랑스의 빈티지 샴페인과 같은 기준을 요구한다.

·Cava de Paraje Calificado(카바 데 파라혜 칼리피카도): 효모 숙성 기간(On the lees)이 최소 36개월로 당도 기준은 Brut Nature, Extra Brut, Brut 세 종류만 출시 가능하다. 그란 레제르바와 마찬가지로 빈티지를 기재해야 한다. 또한, 포도나무의 수령이 최소 10년이상이어야 하며, 정확한 단일 포도밭을 적시해야함과 동시에 농장 사유지 내에서 병입한 와인만 이 등급을 받을 수 있음.
왼쪽부터 9개월, 15개월, 30개월, 36개월 숙성순서대로
위 사진을 보면 숙성될 수록 와인의 컬러가 변화하는 것이 보인다.
일반적으로는, 카바가 오래 숙성될 수록 더 토스티하고 너티한 아로마를 느낄 수 있다.
잘 숙성된 그란 레제르바의 경우 브리오슈, 토스트한 아몬드와 같은 풍미를 발현하게 된다.
랑스의 빈티지 샴페인과 같은 기준을 요구한다.

·Cava de Paraje Calificado(카바 데 파라혜 칼리피카도): 효모 숙성 기간(On the lees)이 최소 36개월로 당도 기준은 Brut Nature, Extra Brut, Brut 세 종류만 출시 가능하다. 그란 레제르바와 마찬가지로 빈티지를 기재해야 한다. 또한, 포도나무의 수령이 최소 10년이상이어야 하며, 정확한 단일 포도밭을 적시해야함과 동시에 농장 사유지 내에서 병입한 와인만 이 등급을 받을 수 있음.




위 사진을 보면 숙성될 수록 와인의 컬러가 변화하는 것이 볼 수 있는데요.
일반적으로는, 카바가 오래 숙성될 수록 더 토스티하고 너티한 아로마를 느낄 수 있죠.
잘 숙성된 그란 레제르바의 경우 브리오슈, 토스트한 아몬드와 같은 풍미를 발현하게 됩니다.
카바 당도 구분 기준
앞서 다루었던 샴페인 당도 구분 기준과 용어만 약간 다를 뿐 거의 동일합니다.
|
Champagne
|
Cava
|
0-3g/L (Residual Sugar)
|
Brut Nature
|
Brut Nature
|
0-6g/L
|
Extra Brut
|
Extra Brut
|
0-12g/L
|
Brut
|
Brut
|
12-17g/L
|
Extra Dry
|
Extra Seco
|
17-32g/L
|
Sec / Dry
|
Seco
|
32-50g/L
|
Demi-sec
|
Semi-Seco
|
50+ g/L
|
Doux
|
Dulce
|
'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모자이크베이커리 대학로 (10) | 2023.02.15 |
---|---|
와인의 보관 방법, 온도에 대해 알아봐요. (24) | 2023.01.19 |
보졸레 와인에 대해 아시나요? (10) | 2023.01.18 |
연희동 맛집 유우 (0) | 2023.01.12 |
북한산 손칼국수 맛집 (2) | 2023.01.12 |